개, 고양이 등 반려동물 시장 규모 및 전망, 관련 사업 진출 제약사 현황

3월 23일은 세계 개의 날이었습니다.
안내견의 소중함을 인식하고 안내견 입양을 장려하기 위해 미국에서 제정한 기념일로 세계적인 날이 되었습니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반려동물이 늘고 산업이 급성장하면서 기념일 및 각종 캠페인과 행사가 열리며 관련 사업을 하는 업체도 늘고 있다.
그러면 시장 규모와 전망, 동물의약품 등 관련 사업에 진출하는 제약회사의 현황을 살펴보자.



1. 시장규모 및 전망

◈ 시장 규모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5년 1.9조원 → ’22년 4.17조원 → ’27년 6조원 예상
* 펫푸드 시장규모(2022년 기준) : (농림축산식품부) 국내 1조 5,000억원, 글로벌 156조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연구에 따르면 반려동물 시장 규모는 2015년 1조9000억원에서 2027년 6조원으로 급성장할 전망이다.
펫코노미(Petconomy)라는 용어가 생겨났는지 궁금하다.
애완동물(Pet)과 경제(Economy)의 합성어로 관련 시장 및 산업을 지칭하는 용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에 따르면 반려동물 시장이 커지면서 반려동물 사료도 함께 성장해 2022년 기준 국내 1조5000억원, 전 세계적으로 156조원이라는 엄청난 성장세를 보였다.


동물의약품 시장 규모는?

그랜드뷰리서치(시장조사기관)에 따르면 동물의약품 시장은 연평균 9.6% 성장해 158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한동물의약협회 발표에 따르면 반려동물 의약품 시장 규모는 2021년 1조3481억원으로 전년 대비 10% 성장할 전망이다.


2. 제약회사의 진출 러시

2023년 3월 AGM 시즌이 시작되었을 때, 중소 제약 회사가 비즈니스 목적으로 추가한 다음과 같은 많은 안건이 있었습니다.
나. 법령개정에 따른 동물용의약품, 건강기능식품 및 사료류 계열사에 투자하는 제약사도 늘고 있다.
삼진제약의 경우 의약품, 건강기능식품, 사료제조업, 도소매업을 더해 도전장을 내밀었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환인제약, 경보제약, 삼일제약도 주주총회 안건으로 상정됐다.


*출처: 삼진제약 2023. 3. 제24기 주주총회 사업목적 변경(삼진제약 공시)

유한양행 등 전통 제약사 옛날에 관련 부서 신설을 통한 사업 마지막에 왔다 또한 이익을 위해 관련 사업을 영위하는 회사의 주식을 보유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동화약품은 반려동물 건강 플랫폼 기업 ‘피펫’에 50억원, 유한양행은 진단검사 서비스 업체인 네오딘바이오벳에 65억원, 의약품·사료제조업체인 SB바이오팜에 70억원을 투자한 것으로 알려졌다.
.


대웅제약은 2021년 관련 서비스업을 영위하는 대웅펫의 지분 66.7%를 인수해 자회사로 세웠다.
동국제약도 지난해 9월 반려견 치주염 치료제를 출시했다.



3. 닫기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전체 가구의 25.9%(606만 가구)가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다.
이러한 추세를 보면 빠르게 성장할 수밖에 없는 산업으로 판단된다.
산업이 성장함에 따라 정부도 면밀한 모니터링을 통해 기업이 공정하게 경쟁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산업체와 기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